Total List168 각 진영 별 사민주의 비판과 그에 대한 생각 '하이에크', '프리드만' 등과 같은 시장만능주의자들은 작은 정부, 시장에 대한 규제철폐를 주장하면서 사회주의, 사민주의, 복지국가론을 모두 비판한다. 시장에 100% 맡겨두면 다 알아서 조정이 되는데, 오히려 국가의 개입에 의해서 시장이 교란되어서 경제 위기가 온다고 주장한다. 이 부류들이 주장하는 바의 핵심은 지겹게 들어왔던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이다. 즉, 그냥 놔두면 수요와 공급이 균형에 의해서 시장가격이 형성되서 적절히 분배가 된다는 것... 애덤 스미스는 이렇게 표현했다.공익을 추구하려는 의도도 없고 자신이 공익에 얼마나 기여하는지조차 모르는 사람, 오직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보이지 않는 손 에 이끌려 의도하지 않았던 공익도 얻게 된다. 이것이 맞는 것일까? 1)인간.. 2013. 2. 5. [프레시안]『영국 노동운동의 역사』강연 - 장석준 한국 좌파의 고민을 알수 있는 글.. '빨갱이' 소련·'복지 천국' 스웨덴, 뿌리는 같다? [다른 '사회'를 발명하라] 강연 http://www.pressian.com/books/article.asp?article_num=50121116103609&Section=02 영국 노동운동의 역사저자G. D. H. 콜 지음출판사책세상 | 2012-09-05 출간카테고리정치/사회책소개노동운동은 노동조합운동을 넘어선다 자본과 대적하며 사회를 바꾸고... 2008년 말부터 조금씩 볼륨을 키워 온 자본주의의 파열음이 보수적 경제학자·관료의 입에서도 메아리 칠 정도로 커졌다. 수많은 광장에서 유례없는 봉기가 일어나 이 파열음에 화답했지만 '자본주의 이후'를 내다보게 하는 조직적 실체는 눈에 보이지 않는다. 또한 지금 이곳.. 2013. 1. 29. [집담회] 진보정의당이 나아갈 길 진보의 정당 만들기 : 실패에서 더 나은 새 출발로 박상훈 (도서출판 후마니타스 대표 / 정치학 박사) 1. 정치 개혁에 대한 우리 사회의 지배 담론은 당내 민주주의였다. 즉 경쟁하는 정당들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하는 정당 체제 차원의 문제보다, 정당이라는 하나의 단위 안에서 인물을 교체하고 외부에 개방하는 데 지나치게 관심이 많았다는 말이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정당은 특정의 이념과 당원, 지지자를 가진 자율적 결사체이다. 그들을 결집시키는 그들만의 이념과 열정, 이해관계가 우선적으로 중요하다. 그들 스스로의 판단에 의해 강한 리더 중심의 위계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집단지도체제를 가질 수도 있고 평당원 중심의 수평적 결정구조를 발전시킬 수도 있다. 정당 체제는 다르다. 민주주의라면 무조건 복수의 정.. 2013. 1. 29. 내가 생각하는 '노동중심성' 좌파가 신봉하는 마르크스... 마르크스는 형이상학, 관념론을 부정했지만, 아이러니하게 그가 주장하는 유물론이니 사적 변증법 등은 노동자들에게는 또다른 형이상학일뿐 입니다. '노동중심성'은 철저히 현실을 직시해야한다고 봅니다. 최근 진보신당 대표경선에 나온 '금민'후보의 책『좌파당의 길』을 보면, 그가 지적한 여러가지 문제점 인식에는 동의하나 그에 대한 대안은 현실과는 너무 동떨어진 이상사회를 제시합니다. 이것이 실현가능할까 하는 의문이 듭니다. 이런 좌파의 급진적 (또는 비현실적) 대안을 '홍기빈'소장도 칼럼을 통해서 비판합니다. [ / 홍기빈 소장의「경제위기 상황에서 진보가 승리하는 길」] 노동자들은 이론가도 전업 활동가들도 아닙니다. 노동자들은 그냥 생활인일 뿐입니다. '노동중심성'이 너무 거창하게 .. 2013. 1. 23.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