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할 목차 소개
제 1 부 돈없는 사랑은 사랑이 아니죠
□ 돈 없는 사랑은 사랑이 아니죠.
제 1 장. 역사의 종언
(1) 역사의 종언
(2) 미국, 아름다운 나라
(3) 돈없는 사랑, 사랑이 아닙니다.
제 2 장.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 괴테의 시, 칸트의 철학, 그리고 고전 경제학
(1)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2) 푸른 생명의 나무 : 몰락의 전조
(3) 마르크스주의
제 3 장. 철학이 허약해서 번성하는 자본주의
□ 머리가 제일 긴 사람을 여왕으로 삼지.
(1) 패러다임
(2) 철학적 기반이 허약해서 번성하는 자본주의
(3) 밀물의 속도(velocity of flow)
제 4 장. 죽은 표현양식이 산 존재양식을 구속하다
□ 원숭이가 보는 세계
(1) 파라오의 꿈
(2) 존재양식과 표현양식
(3) 죽은 표현양식이 산 존재양식을 구속하다
제 5 장. 골프의 경제학
□ 골프를 쳐야 사람대접을 받지
(1) 약탈본능의 시대
(2) 영업은 이윤을 위해 산업을 사보타지 한다.
(3) 유한계급론(Leisure class)
(4) 정학유착(政學癒着)
제 6 장. 카사노바의 경제학
- 자본시장과 경제학 -
□ 들어가는 글
(1) 블러 경제
(2) 주정뱅이의 경제학
(3) 카사노바의 시대
제 2 부 카멜레온의 노래
- 끝없이 변화하는 자본주의 -
제 1 장. 공중분해 되는 자본주의
□에덴은 어디에도 없다
(1) 대변혁
(2) 위대한 사람들이 만든 타락한 국가
(3) 분해되는 자본주의
-미네르바의 올빼미는 황혼녁에 비상한다-
제 2 장. 사랑하기 때문에 헤어진다니
□ 사랑하기 때문에 헤어진다니
(1) 영원한 변화, 자본주의 : 슘페터
(2) 사랑했기에 헤어질 수밖에 없는
(3) 마르크스와 슘페터
제 3 장. 포디즘의 그늘
□ 히틀러의 우상
(1) 사상가 헨리 포드(Henry Ford)
(2) 제2차 산업분화(Second industrial divide)
제 4 장. 포스트 포디즘(Post Fordism)
□ 자본주의 4.0 ?
(1) 여덟 가지 새로운 시대
(2) 포스트 포디즘
제 5 장. 신자유주의는 패러다임인가?
□
(1) 신자유주의(Neo-Liberalism)
(2) 미국과 신자유주의
(3) 신자유주의는 패러다임인가?
제 6 장. 탈자본주의 ?
(1) 탈 산업사회론
(2) 새로운 계급
(3) 정보화 사회
제 7 장. 디지털 시대의 길목에서
(1) 경기변동은 패러다임의 변동인가?
(2) 무서운 예언자 이니스
(3) 지식사회
제 3 부 디지털 패러다임
제 1 장. 인터넷의 등장과 지식사회의 도래
□ 컴퓨터란 무엇인가 ?
(1) 인터넷의 등장
(2) 데이터(data)에서 지식(knowledge)으로
(3) 지식사회인가 정보지식사회인가 ?
제 2 장. 디지털 시대의 도래와 패러다임의 위기
□ 실체(entity)는 디지털인가 아날로그인가 ?
(1) 디지털 시대의 도래와 패러다임의 위기
(2) 디지털 국가의 패러독스(Paradox Of Digital State)
(3) 패러다임의 위기 대두
제 3 장. 시스템과 미래의 주인, DBMS
(1) 시스템, 그대 이름은
(2) 시스템으로 보는 사회
(3) 시스템의 하부구조 DB
제 4 장. 디지털 상품의 등장
(1) 포노그라피도 디지털 상품
(2) 앙팡 테리블(enfant terrible)
(3) 경제?경영 패러다임 붕괴의 시작
(4) 메타 상품의 정치 권력화
(5) 경제?경영 패러다임 어디로 갈까?
제 5 장. 자본주의 시장 이론의 붕괴 시작
(1) 희소성이라니요?
(2) 재벌이 된 노동자
(3) 사라진 공급 곡선
(4) 디지털 시대 전통 경영학 패러다임의 위기
제 6 장. 공용지의 비극
□ 나무도 아닌 것이 풀도 아닌 것이
(1) 컨텐데지그날리지(ContenDesignology)
(2) 공용지의 비극
(3) 국방과 외교는 순수공공재
(4) 디지털 상품의 이상한 성격
제 7 장. 마케팅의 새로운 지평이 열리다
□ 에피소드
(1) 마케팅 천하
(2) 도대체 마케팅이란 무엇인가?
(3) 인터넷마케팅
* 일부 장별 세부 내용은 앞으로 다시 공지해드릴 것입니다. 그리고 연재의 과정에서 항목들이 다소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
[김운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1>
"쓰레기와 다른 폐물들을 내리고 있는 트럭 주위에 약 35명의 남자와 여자 그리고 아이들이 있었다. 트럭이 쓰레기 더미를 떠났을 때 그들 모두는 막대기 또는 식품 및 채소더미를...
[김운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2>
최근에 중국을 대표하는 유명 배우와 차기 중국 지도자감으로 지목되던 전도유망한 정치가의 스캔들이 크게 보도되어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렸습니다. 이 여배우는 출국금지 조치까지 당한...
[김운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3>
제가 젊은 날 숨어서 본 글들 가운데 가장 인상 깊었던 글이 『공산당 선언(Manifesto of the Communist Party)』이었습니다. 이 글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김운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4>
□ 머리가 제일 긴 공주가 여왕이 될거야. 엘리너 파전(Eleanor Farjeon)의 <일곱 번째 공주(The Seventh Princess)>를 읽으신...
[김운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5>
한 마리의 원숭이가 주위의 자연과 일체가 되어 나무 사이를 뛰어다니다가 문득 주위의 나무들이 감옥의 벽으로 변한 것을 알게 됩니다. 마치 아름답고 역동적인 호수가 갑자기 얼어붙...
[김운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6>
제 5 장. 골프의 경제학 □ 골프를 쳐야 사람대접을 받지 요즘 한국에서는 골프(Golf)를 치는 것이 유행입니다. 그래서 골프를 치지 못하거나 관심도 없는 저 같...
[김운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7>
제 6 장. 돈으로 일어난 자 돈으로 망하나니 □ 금고기 이야기 옛날 어느 바닷가에 어부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살았습니다. 어느 날 그물에 금빛이 번쩍이는 금고기가...
[김운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8>
1964년 미국의 헥터(Hecht)씨 부인은 자신이 그 동안 거래해 온 증권회사인 해리스 업햄(Harris Upham & Co)를 법정에 고발하였습니다. 1957년 53만 달러...
[김운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9>
『성경』의 창세기에는 에덴(Eden)이 나옵니다. 에덴이 어디에 있는지 알 길이 없지만 위치는 대체로 현재 이라크(Iraq) 인근으로 추정됩니다. 에덴은 '기쁨(plea...
[김운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10>
제가 어릴 때 이야기입니다. 당시 유명 연예인 부부가 "사랑하기 때문에 헤어진다."는 말을 하면서 이혼을 했습니다. 언론사들은 이것을 앞을 다투어 보도를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김운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11>
제 3 장. 히틀러의 우상, 레닌의 영웅 □ 자동차왕 포드 세기의 독재자, 학살자 히틀러(Adolf Hitler, 1889∼1945)를 잘 아실 것입니다. 이런 세기...
[김운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12>
제 4 장. 포스트 포디즘과 케인즈의 그늘 - 카오스의 여명 - □ 자본주의 4.0 ? 디지털 시대가 도래하자, 사람들은 자본주의(Capitalism)를 마치 ...
[김운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13> 한국에 몰아친 신자유주의 광풍
제 5 장. 한국에 몰아친 신자유주의 광풍 □ 신자유주의(Neo-Liberalism)의 이름으로 1990년대 후반에는 신자유주의의 바람이 거세게 불었습니다. 지금...
[김운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14>
제 6 장. 시대도착(時代倒錯)의 이론가, 다니엘 벨 □ 일곱 번째 공주(The Seventh Princess), 그 후 엘리너 파전(Eleanor Farjeon)...
[김운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15>
제 7 장. 예언자 이니스, 디지털 성 앞에서 외치다 □ 나비의 꿈 서기 2084년, 작은 도시에서 건축 일을 하는 퀘이드(Douglas Quaid)는 로...
[김운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16> 인터넷과 지식, 춤추는 돈
제 3 부 디지털 제국의 성문이 열리다 제 1 장. 인터넷과 지식 그리고 춤추는 돈 □ 실체(entity)는 디지털인가 아날로그인가 ? 아날로그(Analog...
[김운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17> 사이버 민주주의는 가능할까?
제 2 장. 디지털 국가의 패러독스 □ 지킬 박사와 하이드씨 <지킬 박사와 하이드씨(The Strange Case of Dr. Jekyll and Mr. Hy...
[김운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18>
제 3장. 델타 8988의 걸음마 □ 아마게돈(Armageddon) : 신(神)께로 가는 길 1987년 서울, 까치(오혜성)가 다니는 고교에 마리라는 아이가 전학을...
[김운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19>
제 4 장. 사티로스와 프랑켄슈타인, 그리고 디지털 상품 □ 포르노그라피의 세계 최대 고객, 한국 세계에서 포르노그라피(pornography)를 가장 많이 보는...
[김운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20>
제 5 장. 자본주의 시장이론의 붕괴가 시작되다 □ 테일러는 무엇을 위해 천하를 철환하였는가? 현대는 경영의 시대입니다. 그래서 한창 주가를 올리고 있는 경영학은...
[김운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21> 디지털 시대에 공용지의 비극은 해소될 것인가
제 6 장. 공용지의 비극과 디지털 공공재 - 디지털 시대에 공용지의 비극은 해소될 것인가? - □ 유토피아를 찾아서 토마스 모어(T. More, 1478~1...
[김운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22>
제 7 장. 열 살의 아이, 천하를 넘보다. □ 도대체 마케팅이란 무엇인가? 제가 대학 다닐 때 유명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상대(商大)의 한 교수가 출제하...
[김운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23>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 나무도 아닌 것이 풀도 아닌 것이 나모도 아닌 거시 플도 아닌 거시 곳기는 뉘 시기며 속은 어이 뷔연난다. 뎌러코 四時(사시)...
[김운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24> 연재를 마치며
시간은 실타래처럼 뭉쳐있는 기억의 덩어리들이다. 시간은 구불구불한 길처럼 나에게로 왔다가 다시 멀어져 가는 불순한 반복이다. 시간은 우리를 과거라는 흔적 속에 떨어뜨려 놓고 미...
'연재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마이뉴스]한국사회 분노의 숫자 - 새사연 (0) | 2013.11.02 |
---|---|
[오마이뉴스]5·16쿠데타 50년, 박정희 권력 평가 (0) | 2013.01.05 |
[한겨레][기획연재]김정남 "박정희 시대를 증언한다" (0) | 2012.10.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