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경영26

[레디앙][인터뷰-손호철]"진보, 세금-경제체제 의제화해야" [인터뷰-손호철] "사자 말고 느티나무처럼 늙고 싶다"http://www.redian.org/archive/39486 2012. 1. 22.
[르몽드 디플로마티크]돌려막기 경제, 남은 카드가 없다 돌려막기 경제, 남은 카드가 없다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515781.html2008년 이후 금융 상황이 쉴 새 없이 악화되는 것을 가리키기 위해 쓰고 있는 ‘위기’라는 개념은 어떤 유구한 체계에 느닷없이 이상이 생겼음을 암시한다. 그렇다면 원상복구를 하기 위해 무절제했던 그동안의 행태를 고치는 것 정도로 충분할지 모른다. 하지만 지금 사태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서구 국가들에 도입된 민주자본주의가 넘을 수 없는 어떤 혼돈을 내포하고 있다면 어떨까? 2012. 1. 21.
[한겨레][정석구 칼럼] 재벌개혁 왜 실패했나 [정석구 칼럼] 재벌개혁 왜 실패했나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515307.html 2012. 1. 18.
강만수 발언의 파장..최진기 선생의 환율정책 비토 ▶다시 보는 최진기 선생의 이명박, 강만수 환율정책 비토.. 08년 강만수 환율 인상 발언은 한마디로 미친짓입니다. 1$=1000₩이라고 할때 정부 경제 최고책임자가 환율을 인상하겠다고 하면 1$=1100~1200₩까지 올린다는 소리인데, 어떤 외국인 투자자가 가만히 있습니까?? 자신 투자한 돈 다 달러로 바꿔서 나가죠. 예를 들어 설명하면 10$를 가져와 만원으로 바꿔서 투자한 자가 1$=1100₩으로 환율이 오르면 만원을 환전하면 더이상 10$가 안되는데 당연히 환율 오르기전에 다 환전해서 나가죠.. 이렇게 되면 계속 외화가 빠져나가면서 환율인상이 가속화되서 목표한 환율인상을 오버하게 되는거죠. 여기에 정부가 시장개입을 해서 환율상승을 억제한다는 것은 아직 미처 환전하지 못한 외국 투자자들에게 "얼른.. 2012.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