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평]『자본주의·사회주의·민주주의』- 조지프 슘페터 자본주의 사회주의 민주주의저자조지프 슘페터 지음출판사한길사 | 2011-07-31 출간카테고리인문책소개미국의 이론경제학자 슘페터가 자본주의,사회주의의 본질과 그 전망... 미국의 이론경제학자 슘페터가 자본주의·사회주의의 본질과 그 전망을 조망한 책. 그는 여기서 마르크스의 이론을 비판하고,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운명을 내다본다. 또한 민주주의의 여러 모순들을 정치·사회적인 입장에서 깊은 통찰력으로 분석해내고 있다. 슘페터는 20세기 전반의 세계적인 이론경제학자이다. 경제·사회 전반의 문제를 40여 년에 걸쳐 사색한 그의 결정체가 이 책이다. 여기서 그는 마르크스 이론의 비판 및 자본주의의 운명, 민주주의 여러 모순들을 순수경제학의 범주를 넘어서 정치·사회적인 입장에서 광범위하고도 깊은 통찰력으로 분석하고.. 2013. 4. 16.
[프레시안]김운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연재할 목차 소개 제 1 부 돈없는 사랑은 사랑이 아니죠 □ 돈 없는 사랑은 사랑이 아니죠. 제 1 장. 역사의 종언 (1) 역사의 종언 (2) 미국, 아름다운 나라 (3) 돈없는 사랑, 사랑이 아닙니다. 제 2 장.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 괴테의 시, 칸트의 철학, 그리고 고전 경제학 (1)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2) 푸른 생명의 나무 : 몰락의 전조 (3) 마르크스주의 제 3 장. 철학이 허약해서 번성하는 자본주의 □ 머리가 제일 긴 사람을 여왕으로 삼지. (1) 패러다임 (2) 철학적 기반이 허약해서 번성하는 자본주의 (3) 밀물의 속도(velocity of flow) 제 4 장. 죽은 표현양식이 산 존재양식을 구속하다 □ 원숭이가 보는 세계 (1) 파라오의 꿈 (2) 존재양식과 표현양식 (3) 죽.. 2013. 3. 15.
[프레시안] 홍기빈과 함께 읽는 Karl Polany 『거대한 전환 ( The Great Transformation )』 거대한 전환저자칼 폴라니 지음출판사길 | 2009-06-30 출간카테고리정치/사회책소개불황ㆍ위기ㆍ생존의 시대! 칼 폴라니의 고전이 새롭게 뜨고 있다!... [홍기빈과 함께 읽는 Karl Polany] ① http://bit.ly/dL5rfN ② http://bit.ly/k8PLW ③ http://bit.ly/tfpoB ④ http://bit.ly/hSF8Tv 지난해 9월 투자은행 리먼브라더스의 파산으로 본격화된 영미식 금융자본주의의 몰락이 한국에 가져다준 충격은 매우 컸다. 당장 환율이 급등하고 주가가 폭락하는 등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매우 컸지만, 못지 않게 지적, 심리적 충격도 컸다. '승승장구하던 신자유주의적 경제질서로의 편입 만이 한국의 유일한 살 길'이라는 우파의 주장에 좌파 역시 거의 자포자기.. 2013. 3. 10.
[미디어오늘]“무기력한 좌파들, 유토피아 말고 현실적 비전을 보여달라” “무기력한 좌파들, 유토피아 말고 현실적 비전을 보여달라” [인터뷰] 홍기빈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소장, “복지국가는 이상 아닌 최소한의 생존조건”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99908 비그포르스 복지 국가와 잠정적 유토피아저자홍기빈 지음출판사책세상 | 2011-10-20 출간카테고리정치/사회책소개스웨덴 복지 국가의 설계자 비그포르스, 현실에 기초한 ‘잠정적 ... 홍 소장은 무기력에 빠진 진보진영이 답답해서 이 책을 쓰게 됐다고 말했다. 홍 소장은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의 교조에 충실하다 보면 자본주의가 완전히 붕괴할 때까지 할 수 있는 일은 아무 것도 없다”면서 “좌파나 우파나 시장경제 자체를 부정해서는 안 된다는 굳건한 신념을 공.. 2013. 3. 7.
각 진영 별 사민주의 비판과 그에 대한 생각 '하이에크', '프리드만' 등과 같은 시장만능주의자들은 작은 정부, 시장에 대한 규제철폐를 주장하면서 사회주의, 사민주의, 복지국가론을 모두 비판한다. 시장에 100% 맡겨두면 다 알아서 조정이 되는데, 오히려 국가의 개입에 의해서 시장이 교란되어서 경제 위기가 온다고 주장한다. 이 부류들이 주장하는 바의 핵심은 지겹게 들어왔던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이다. 즉, 그냥 놔두면 수요와 공급이 균형에 의해서 시장가격이 형성되서 적절히 분배가 된다는 것... 애덤 스미스는 이렇게 표현했다.공익을 추구하려는 의도도 없고 자신이 공익에 얼마나 기여하는지조차 모르는 사람, 오직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보이지 않는 손 에 이끌려 의도하지 않았던 공익도 얻게 된다. 이것이 맞는 것일까? 1)인간.. 2013. 2. 5.
[프레시안]『영국 노동운동의 역사』강연 - 장석준 한국 좌파의 고민을 알수 있는 글.. '빨갱이' 소련·'복지 천국' 스웨덴, 뿌리는 같다? [다른 '사회'를 발명하라] 강연 http://www.pressian.com/books/article.asp?article_num=50121116103609&Section=02 영국 노동운동의 역사저자G. D. H. 콜 지음출판사책세상 | 2012-09-05 출간카테고리정치/사회책소개노동운동은 노동조합운동을 넘어선다 자본과 대적하며 사회를 바꾸고... 2008년 말부터 조금씩 볼륨을 키워 온 자본주의의 파열음이 보수적 경제학자·관료의 입에서도 메아리 칠 정도로 커졌다. 수많은 광장에서 유례없는 봉기가 일어나 이 파열음에 화답했지만 '자본주의 이후'를 내다보게 하는 조직적 실체는 눈에 보이지 않는다. 또한 지금 이곳.. 2013. 1. 29.